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근로소득세 세율 비과세 근로소득

     

    2025년부터 근로소득세 비과세 항목이 크게 확대됩니다. 이는 근로자들의 실질적인 소득 증대를 위해 정부가 추진한 중요한 개정안으로, 주요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비과세 근로소득 변경 사항

    식대 비과세 한도 상향

    2025년부터 월 10만 원으로 제한되었던 식대 비과세 한도가 월 20만 원으로 증가합니다. 이에 따라 연간 최대 240만 원까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직장인들의 식비 부담이 한층 경감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출산·보육수당 비과세 확대

    출산 및 육아 지원 강화를 위해 출산·보육수당의 비과세 한도가 월 20만 원으로 상향 조정됩니다. 이 정책은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핵심적 노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기업의 출산 지원금 전액 비과세

    기업이 근로자 또는 그 배우자에게 지급하는 출산 지원금은 전액 소득세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자녀 출생 후 2년 이내에 최대 두 차례 지급되는 경우에 한정되며, 이 규정은 2021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자녀에게 소급 적용됩니다.

     

    국외 근로소득 비과세 한도 확대

    해외 근무자들을 위한 비과세 혜택도 강화됩니다. 국외 근로소득 비과세 한도가 월 500만 원으로 증가하여, 글로벌 인재 유치 및 해외 진출 기업 지원에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종업원 할인 비과세 신설

    2025년부터 종업원이 자사 제품을 할인받아 구매할 경우 새로운 비과세 규정이 적용됩니다. 주요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자사 및 계열사가 생산·공급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한정
    • 재판매가 금지된 경우
    • 임원 또는 종업원이 직접 소비를 목적으로 할 것

    이 정책은 기업 복지 혜택의 확장을 도모하며, 종업원들의 실질적인 혜택을 증대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근로소득세율 안내

    2025년 근로소득세율에는 큰 변화가 없으나, 정확한 과세표준 구간과 세율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1,400만 원 이하: 6%
    • 1,400만 원 초과 ~ 5,000만 원 이하: 15%
    • 5,000만 원 초과 ~ 8,800만 원 이하: 24%
    • 8,800만 원 초과 ~ 1억5천만 원 이하: 35%
    • 1억5천만 원 초과 ~ 3억 원 이하: 38%
    • 3억 원 초과 ~ 5억 원 이하: 40%
    • 5억 원 초과 ~ 10억 원 이하: 42%
    • 10억 원 초과: 45%

    과세표준별 누진공제액을 정확히 반영하여 세금 계산을 진행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기타 주요 변경사항

    결혼세액공제 신설

    2024년부터 2026년까지 혼인 신고를 한 부부는 최대 100만 원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부부 각 50만 원씩 적용됩니다.

     

    자녀세액공제 확대

    2명 이상의 자녀를 둔 가구에 대한 세액공제가 기존 30만 원에서 35만 원으로 확대되며, 손자녀도 공제 대상에 포함됩니다.

     

    육아휴직 수당 비과세 확대

    2024년부터 사립학교 직원이 받는 월 150만 원 이하의 육아휴직 수당도 비과세 소득으로 인정됩니다.

     

     

    연말정산 시 주의사항

    2025년 연말정산을 준비하면서 이러한 변경 사항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특히 비과세 항목의 확대는 세금 부담 경감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므로, 자신이 해당되는 항목을 철저히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업의 경우, 종업원 할인에 대한 새로운 비과세 규정을 잘 이해하고 이를 적극 활용하여 복리후생 제도를 개선할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마무리

    2025년 근로소득세 개정안은 근로자들의 세금 부담 완화를 목표로 설계되었습니다. 특히 출산과 육아 관련 혜택이 강화된 점은 저출산 문제 해결에 대한 정부의 강한 의지를 보여줍니다.

     

    근로자들은 이러한 변화를 숙지하고, 절세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전문가의 조언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기업 역시 변화된 제도에 맞춰 종업원 복지를 재점검하여, 실질적인 혜택 제공과 세제 지원 효과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