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매수증거금 부족 시 해결법 증거금 뜻

 

안녕하세요! 오늘은 증거금의 정의와 매수 증거금이 부족할 때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증거금이란?

주식을 거래할 때, 보유하고 있는 현금을 예수금으로 사용하여 주식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증거금 제도를 이용하면 예수금 이상의 금액으로도 거래가 가능합니다. 증거금은 특정 종목의 결제를 보증하기 위해 필요한 금액을 뜻합니다. 이는 일종의 초단기 신용거래나 대출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주식 시장은 D+2 시스템을 사용하여 실제 거래가 완료되기까지 3영업일이 소요되므로, 매수 시점을 포함한 이틀 동안은 보유한 예수금보다 더 많은 금액으로 주식을 매수할 수 있습니다. 이때 D+2일까지 갚아야 할 금액을 미수금이라고 하며, 갚지 못할 경우 반대매매가 발생하니 주의해야 합니다. 

 

 

공모주 청약 증거금

안정적이고 꾸준한 수익을 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공모주 청약이죠. 공모주 청약을 통해 증거금 제도를 활용하게 됩니다. 공모주 청약 시 공모가와 최소 수량을 곱한 값의 50%를 증거금으로 사용합니다. 이는 공모주 청약의 증거금률이 50%로 정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과거에는 증거금률을 청약 종목마다 40%, 30% 등으로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는 법안이 논의되었으나 구체화되지는 않았습니다.

 

 

 

매수증거금 부족 원인 및 해결법

 

예수금이 부족한 경우

주식을 거래하다 보면 증거금이 부족하다는 메시지가 나올 때가 있습니다. 주로 세 가지 상황에서 발생하며,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첫 번째, 예수금이 부족한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100만 원짜리 주식 A를 매수하려는데 증권사에서 증거금률을 40%로 설정했다면 최소 40만 원이 필요합니다. 이 예수금이 부족하면 증거금이 부족하다는 메시지가 뜨게 됩니다. 이때는 예수금을 추가로 입금하면 해결됩니다.

 

 

거래 미체결

두 번째, 이미 주문을 걸어놓은 주식이 거래되지 않은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현재 가격이 98,000원인 주식 B를 97,000원에 매수하려고 주문을 걸었으나 시간이 지나도 체결되지 않으면, 나중에 98,000원에 다시 매수하려 할 때 증거금 부족 메시지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처음에 주문한 주식이 체결되지 않았더라도 증거금이 이미 들어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때는 처음 주문했던 미체결 내역을 취소하면 해결됩니다.

 

 

환전을 하지 않은 경우

세 번째, 국내 주식과 해외 주식을 동시에 투자하는 경우입니다. 증거금은 원화와 외화로 구분되어 사용되는데, 환전을 하지 않고 미국 주식을 주문하면 달러가 없어서 증거금 부족 메시지가 뜹니다. 이 경우 증권사의 통합증거금 제도를 이용하거나 환전을 하면 해결됩니다.

 

 

증거금률 변경 방법

증거금 부족 상황을 보며 미수금 발생으로 인한 반대매매를 걱정하는 분들도 있을 겁니다. 다행히도 본인 계좌의 증거금률 설정은 본인이 직접 변경할 수 있습니다. 증권사 앱에서 '증거금률 신청' 또는 '증거금률 변경'을 검색하여 위탁증거금률을 100%로 설정하면, 불필요한 신용거래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습니다.

 

 

마치며

이번 글에서는 주식 거래 시 증거금의 의미와 매수 증거금이 부족할 때 해결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증거금은 일종의 보증금이며, 이를 통한 거래는 초단기 신용거래나 대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증거금이 부족한 상황에서는 예수금을 추가로 입금하거나, 예약 거래를 취소하고, 환전을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또한, 미수금으로 인한 반대매매가 걱정된다면 증거금률을 100%로 변경하여 현금으로만 거래할 수 있도록 설정하면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