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주식 꿀정보

트럼프 관련주 2가지 정리

할로드니◆ 2024. 7. 12. 11:02

목차



     

     

    경제에 대해 깊이 고민해보면, 2024년 가장 주목받을 키워드는 무엇일까요? 미국 주식에 관심이 있는 저로서는 당연히 미국 대선과 트럼프가 떠오릅니다. 투자자라면 정책 변화에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데, 그 이유는 정책 방향에 따라 관련주들이 큰 변동성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트럼프 관련주와 미국 대선 날짜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미국 대선 날짜

    미국 대선은 2024년 11월 5일에 열립니다. 현재 포스팅 시점을 기준으로 4개월도 채 남지 않았습니다. 날짜가 다가올수록 대통령 후보들은 더 많은 표를 얻기 위해 훌륭한 공약들을 제시하며 노력하고 있습니다.

     

    지난달에는 트럼프와 바이든 간의 토론이 있었습니다. 두 후보는 외부의 도움 없이 오직 자신의 역량으로만 서로의 의견을 나누는 자리였는데요. 저는 직접 시청하지는 않았지만 유튜브와 뉴스를 통해 대략적인 상황을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세계 최고 권력자인 대통령 자리를 놓고 벌인 토론에서 바이든이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트럼프에게 유리한 결과를 가져다준 토론이었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투자자들이 차기 대통령으로 트럼프를 점치고 있으며, 자연스럽게 트럼프 관련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트럼프 관련주로 주목받는 종목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몇 가지를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트럼프 관련주: 미국 내

     

    록히드마틴 (LMT)

    록히드마틴은 미국을 대표하는 방산 관련주입니다. 미국 국방부와 꾸준히 협약을 맺고 있어 안정적인 실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최근 이슈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으로 인해 수혜를 보고 있다는 점입니다.

     

    록히드마틴을 단순히 전쟁 관련주로만 볼 수는 없습니다. 이 회사는 우주 사업도 진행하고 있으며, 비록 다이나믹한 성장은 아니지만 매출 비중이 꽤 높습니다. 기술이 더 발전하면 더 높은 성장을 기대할 수도 있습니다.

     

    트럼프 관련주: 한국 내

    LIG넥스원 (079550)

    LIG넥스원은 요즘 꾸준히 주가가 상승하고 있는 종목입니다. 우리나라는 좁은 영토에도 불구하고 국방력에서는 세계 10위 안에 드는 대단한 국가입니다.

     

    국내에는 많은 방산주들이 있지만, 대표적으로 LIG넥스원이 눈에 띕니다. 다양한 방산 물자의 연구개발과 제조, 판매를 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으로는 대지, 대공, 수중무기, 대전차, 유도폭탄 등이 있습니다.

     

     

    트럼프 관련주들의 공통점

    트럼프 관련주들의 공통점을 발견하셨을 것입니다. 다양한 섹터가 있긴 하지만, 가장 주목받고 있는 종목들은 방산 관련주들입니다. 트럼프는 자국 우선주의를 강조하는 인물입니다.

     

    다른 나라의 상황보다 미국이 우선이라는 정책을 펼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21세기답지 않게 크고 작은 전쟁들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특히 유럽과 중동 지역은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방위비를 늘릴 수밖에 없습니다.

     

    트럼프가 당선된다면 세계 각국은 자신들을 방어하기 위해 무기를 구매할 것이라는 예상으로 방산주들이 트럼프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마치며

    오늘은 트럼프 관련주와 미국 대선 날짜에 대해 이야기해보았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방산주에 큰 관심이 없어, 트럼프가 당선된다 하더라도 관련주에 투자할 계획은 없긴 합니다.

     

    하지만 투자를 하는 사람으로서 어떤 섹터가 주목받고 시장을 이끌어가는지 정도는 알아두어야 하기에 꾸준히 모니터링을 하려고 합니다. 미국 대통령은 세계 최고 권력자인 만큼, 누가 되든 올바른 방향으로 영향력을 펼치기를 바랍니다.

     

    미국 대선이 다가오면 관련 내용을 다시 포스팅하겠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이만 마치겠습니다.

    반응형